답변 : AWS RDS 는 백업, 복구, 패치 등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작업을 자동화해주기 때문에 사용 하였습니다. MySQL은 무료이며,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며, 안정적이고 확장성이 뛰어나며, 보안 기능도 강화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였습니다.
1-1 Mysql 말고 Nosql은 사용 할 수 없었는지?
답변 : MySql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이며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RDBMS)은 구조화된 쿼리 언어(SQL)의 기반입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고도로 구조화된 테이블에서 데이터에 엑세스하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NoSql 보다는 MySql을 적합하다 생각하여 MySql을 사용하였습니다.
1-2 NoSQL이 무엇인가요?
답변 :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가리키며 이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테이블과는 다른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
1-3 AWS RDS와 MySQL을 사용하면서 스케일업과 스케일아웃에 대한 고려는 해보셨나요?
답변 : 우선 RDS인스턴스의 성능을 높이는 스케일업 작업을 통해서 우선적으로 대체 후 추가적으로 필요시 인스턴스를 추가해서 스케일 아웃을 고려할것 입니다.
답변 : AWS S3와 CodeDeploy를 사용하면 배포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어서 개발자가 직접 배포
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사용했습니다.
2-1 프로젝트에서 다른 CI/CD 도구를 고려한 이유와 최종적으로 깃허브 액션과 AWS S3 및 CodeDeploy를 선택한 결정 요인은 무엇인가요?
답변 : 깃허브 액션은 프로젝트의 깃허브 저장소와의 통합이 원활하고, 편리한 빌트인 기능을 제공하며, AWS
S3와 CodeDeploy와의 호환성이 좋아서 선택하였습니다.
2-2 CI/CD 가 프로젝트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?
답변 : 수동으로 배포하는 시간을 절약하고,서버를 종료하지 않아도 코드를 수정,배포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
높아졌습니다. 또한 백엔드 멤버 누구나 github를 통해 서버에 배포할수있음으로 접근성역시 좋았습니
다.
2-3 AWS S3와 CodeDeploy 외에 다른 배포 자동화 도구들이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?
답변 : Jenkins, Travis CI, CircleCI, GitLab CI/CD, TeamCity 등이 있습니다. CI/CD 파이
프라인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, 다양한 환경에서 배포를 자동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
다.
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, 프로젝트의 규모, 요구사항, 개발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도구를 선택해야
합니다.
2-4 깃허브 액션을 사용할 때 어떤 장점이 있나요?